카테고리 없음
조별과제 예찬론
종합유추
2015. 6. 5. 22:27
조별과제 예찬론
1. 이번학기는 성실했다고 자부한다. 많은 것을 공부하고 많은 것을 생각했다. 허나 이룬것은 생각외로 크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배운것들을 잘 정리하고 체계화한다면 충분히 이후의 발전에 도움이 될만한 초석이 될 것이라 확신한다.
2. 조별과제를 내주는 교수님들은 분명 깊은 뜻이 있을 것이다. 사실 조별과제에 제대로 참여했는지 참여하지 않았는지는 질문해보면 안다. 제대로 조사한 사람들은 자신이 아는 부분과 모르는 부분을 명확하게 구분할 줄 알고, 아는 부분에 대해서는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안다. 만일 이에 대한 답을 제대로 못하면 경우는 크게 두 가지가 있는것 같은데, 하나는 조사를 하기로 했으면서 제대로 조사를 안 했거나, 다른 하나는 조사를 자체를 안 한 경우다. 전자는 괘씸죄고 후자는 F이다.
아마 이것은 교수님도 아실테지, 허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수님이 조별과제를 내는 것은, 그 가운데 누군가는 열심히 과제에 임한다는 것 때문 아닐까. 소수지만 어떤 학생들은 혼자 3인이 해야할 과제를 훌륭하게 수행하여 완벽하게 끝낼 수 있는 능력을, 그 한명에게나마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은, 훌륭한 만능인으로 그 세명중에 한명 혹은 두명을 발전하게 만든다.
수업에 들어가면 항상 모든 학생들이 잘 되기를 바라는 것는 열정적인 교수자의 마인드지만, 그런 가운데 수업에서 건지는 사람은 많지 않다는 것은 대체적으로 매해 수업들을 바탕으로 경험적으로 입증된 사실이다. 그런 건질 수 있는 하나와 둘을 혹은 그 이상을 위해 수업을 진행한다면, 그런 가운데 조별과제는 그런 열정적인 학생을 더 뛰어나게 만드는 원동력이 되지 않겠나싶고. 프리라이더를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별과제를 내는 교수님의 목적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3. 많은것에 흥미가 있는 것은 좋은 것이다. 하지만 흥미가 있다고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것을 실행할만한 강력한 실행력이 동반되어야 한다.
1. 이번학기는 성실했다고 자부한다. 많은 것을 공부하고 많은 것을 생각했다. 허나 이룬것은 생각외로 크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배운것들을 잘 정리하고 체계화한다면 충분히 이후의 발전에 도움이 될만한 초석이 될 것이라 확신한다.
2. 조별과제를 내주는 교수님들은 분명 깊은 뜻이 있을 것이다. 사실 조별과제에 제대로 참여했는지 참여하지 않았는지는 질문해보면 안다. 제대로 조사한 사람들은 자신이 아는 부분과 모르는 부분을 명확하게 구분할 줄 알고, 아는 부분에 대해서는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안다. 만일 이에 대한 답을 제대로 못하면 경우는 크게 두 가지가 있는것 같은데, 하나는 조사를 하기로 했으면서 제대로 조사를 안 했거나, 다른 하나는 조사를 자체를 안 한 경우다. 전자는 괘씸죄고 후자는 F이다.
아마 이것은 교수님도 아실테지, 허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수님이 조별과제를 내는 것은, 그 가운데 누군가는 열심히 과제에 임한다는 것 때문 아닐까. 소수지만 어떤 학생들은 혼자 3인이 해야할 과제를 훌륭하게 수행하여 완벽하게 끝낼 수 있는 능력을, 그 한명에게나마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은, 훌륭한 만능인으로 그 세명중에 한명 혹은 두명을 발전하게 만든다.
수업에 들어가면 항상 모든 학생들이 잘 되기를 바라는 것는 열정적인 교수자의 마인드지만, 그런 가운데 수업에서 건지는 사람은 많지 않다는 것은 대체적으로 매해 수업들을 바탕으로 경험적으로 입증된 사실이다. 그런 건질 수 있는 하나와 둘을 혹은 그 이상을 위해 수업을 진행한다면, 그런 가운데 조별과제는 그런 열정적인 학생을 더 뛰어나게 만드는 원동력이 되지 않겠나싶고. 프리라이더를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별과제를 내는 교수님의 목적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3. 많은것에 흥미가 있는 것은 좋은 것이다. 하지만 흥미가 있다고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것을 실행할만한 강력한 실행력이 동반되어야 한다.